美연준 '매파' 금리 방향…"2회 이상 올릴 확률 40%"

 

뉴스폴 김종익 기자 | 카시카리 총재는 26일(현지시간) 미국 경제의 향후 전망에 대해 두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습니다. 이 서한은 미니애폴리스 연은 홈페이지에 게시되었다.

 

첫 번째 시나리오는 '연착륙' 이다. 이 시나리오에서는 연방준비제도(Fed)가 금리를 한 차례 더 인상하고 그 수준을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하여 물가상승률을 목표 수준인 2%로 되돌리는 경로를 따른다. 카시카리 총재는 이 시나리오의 확률을 60%로 평가하며 "건전한 노동시장을 유지한 상태에서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데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"고 설명했다.

 

두 번째 시나리오는 '인플레이션 압력 고착화' 다. 이 시나리오에서는 인플레이션이 3% 수준에서 내려가지 않고 가계가 소비를 계속하면 추가적인 통화 긴축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. 이 경우 연방공개시장위원회(FOMC)는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기준금리를 한 번 이상 인상해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이 시나리오의 확률은 40%로 평가되었다.

 

카시카리 총재는 "소비자 지출과 경제 활동이 예상을 뛰어넘고 있으며, 경제 부문 중 가장 민감한 주택과 자동차 분야가 탄력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"고 언급하며 "현재 정책이 충분히 긴축적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"고 밝혔다.

 

그러면서 "다행히도 지금 당장 결정을 내릴 필요는 없다"며 "향후 몇 달 동안 인플레이션 진행 상황을 관찰하여 어떤 시나리오가 우세할지 판단할 수 있다"고 덧붙였다.

시장에서는 추가 긴축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,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은 미국의 기준금리가 7%까지 올라갈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경고하며, 기준금리가 더 높아진다면 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.